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1303번
- Redux
- 백준 1068번 트리
- 13023번 ABCDE
- 백준
- 백준 2638번
- level0
- 2638번 치즈
- 알고리즘 수업-깊이 우선 탐색1
- 자바스크립트
- 백준 13023번
- ssh
- JavaScript
- React
- 24480번
- 프로그래머스
- 1937번 욕심쟁이 판다
- dfs
- 알고리즘
- 1389번 케빈 베이컨의 6단계 법칙
- level1
- 힙 자바스크립트
- Java
- 리덕스
- 기지국 설치 js
- 2275번
- 우선순위 큐 자바스크립트
- 부녀회장이 될 테야
- 기지국 설치 자바스크립트
- 백준 1068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78)
코딩왕랄프👊🏻

1. Wordpress를 사용할 계정을 하나 만든다. 2. /home에 들어가면, 내가 추가한 계정들이 나와있다. 3. 계정안에 하나의 폴더를 만들어 그 안으로 들어간다. 4.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워드프레스를 다운받는다. 5.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압축을 푼다. 6. 계정내의 폴더에 있던 압축파일을 삭제한다. 삭제하고나면, 폴더내에는 워드프레스를 다운받으며 생긴 또다른 wordpress라는 폴더가 생긴다. 7. cp 명령어를 통해 wp-config-sample.php를 wp-config.php 파일로 복사한다. 8. mysql에 로그인한다. 9. 데이타베이스를 새로만들고, 유저와 패스워드를 적어준다. 10. 다음파일을 열어 다음과 같은 부분을 수정한다. 11. 우리가 만든 계정안에 목록을 보면, 우리가..

1. Virtual Box에서 '새로만들기'를 한다. 2. 우분투를 만들기 위해, 종류는 리눅스, 버전은 우분투로 한다. 메모리를 설정할때에는 2048 MB로 해준다. 3. 새로 만들기가 완되면, 설정을 누른다. 4. 설정의 저장소로 이동하여, 미리 다운받은 우분투를 디스크 파일로 선택한다. 5. 설정의 네트워크로 이동하여 어댑터 1을 NAT으로 설정한다. 6. 어댑터 1의 고급 설정으로 들어가 포트 포워딩을 한다. 7. 호스트 포트를 제외하고, 다른 것은 다 다음과 같게 설정한다. 8. 어댑터 2로 들어가, 호스트 전용 어댑터로 연결 시킨다. 9. 설정을 완료한 후, 시작 버튼을 눌러 우분투를 본격적으로 설치한다.

1. /etc/apache2/ports.conf 파일을 연다. 2. 이 파일에 들어가면 원래 "Listen 80"이라고, 80포트만 기록 되어 있는데 추가하고자 하는 포트를 그 아래에 입력한다. 3. 다음, /etc/apache2/sites-available/000-default.conf 파일에 들어간다. 4. 원래는 아래와 같이 80포트에 관한 것들이 기록 되어 있다. 5. 그 아래에, 우리가 추가하고자 하는 포트의 정보를 입력한다. => 8000포트를 추가하여, ServerName과 DoucumentRoot 부분을 수정시켜 주었다. => 8080포트 또한 추가해 주어, ServerName과 DocumentRoot 부분을 수정시켜 주었다. 6. 마지막으로 아파치를 재시동 시켜준다. 7. 웹 브라우저에서..

1.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등록 되어있는 host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 수 있다. 2. "adduser 원하는 이름" 을 사용하여 user를 새로 만든다. 3. "sudo su user이름" 을 통하여 생성한 user의 계정으로 로그인 된다. 4. 홈 디렉터리로 가서, 설정해 놓은 유저의 디렉터리로 이동하고, 그 안에 하나의 파일을 만든다. 5. 만든 파일 안에 내가 주소로 사용하고자 하는 이름으로 파일을 하나 더 만들고, 그곳으로 이동한다. 6. cat 명령어를 사용하여, 'index.html' 이라는 텍스트 파일내에 내용을 적는다. 이때 이 내용은 주소를 입력했을 때, 사이트에 띄울 내용이다. 7. /etc/apache2/sites-available로 이동하여, 주소로 만들 이..

1. 버츄얼 박스의 우분투 터미널 내에서, "sudo vi /etc/hosts" 라는 명령어를 치고 패스워드 입력후 host 파일내로 들어간다. 2. 아래 사진을 보면 127.0.0.1 의 주소로 localhost가 설정 돼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도 127.0.0.1의 주소로 hyerm.co.kr 이라는 주소를 설정하였다. 3. 웹 브라우저를 들어가서 아까 설정한 주소를 입력하면 '홈 디렉터리' 라고 설정해 놓은 화면이 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