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왕랄프👊🏻

[우분투] 8. named-based VirtualHost 설정 본문

카테고리 없음

[우분투] 8. named-based VirtualHost 설정

hyerm_2 2019. 4. 30. 10:51
반응형
SMALL

1.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등록 되어있는  host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 수 있다.

 

 

2. "adduser 원하는 이름" 을 사용하여 user를 새로 만든다. 

 

3. "sudo su user이름" 을 통하여 생성한 user의 계정으로 로그인 된다.

 

4. 홈 디렉터리로 가서, 설정해 놓은 유저의 디렉터리로 이동하고, 그 안에 하나의 파일을 만든다.

 

5. 만든 파일 안에 내가 주소로 사용하고자 하는 이름으로 파일을 하나 더 만들고, 그곳으로 이동한다.

 

6. cat 명령어를 사용하여, 'index.html' 이라는 텍스트 파일내에 내용을 적는다. 이때 이 내용은 주소를 입력했을 때, 사이트에 띄울 내용이다.

 

7. /etc/apache2/sites-available로 이동하여, 주소로 만들 이름과 같은 이름의 .conf 형태의 파일을 하나 만든다.

=> 이때 이렇게 생기는 오류는, 여기서 사용해야 할 계정은 우리가 만든 유저의 계정이 아니기 때문이다. 

=> 그래서 "exit" 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로그아웃해준다.

 

8. "sudo cp"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000-default.conf 파일을 우리가 사용할 주소의 이름과 같은 파일을 .conf형태로 복사한다.

 

9. 파일을 만든 후 들어가서, 첫 화면과 두번째 화면의 표시된 부분을 마지막 사진처럼 수정한다.

 

10. /etc/apache2/sites-available 의 주소로 이동한다.

 

11. "sudo a2ensite 주소이름" 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enabled 시켜준다.

 

12. enabled 시켜준 파일을 재시동 한다.

 

13. 처음에 들어갔던 다음의 host 파일로 들어가서, ip주소를 써주고 그 옆에, 주소를 적어준다.

 

14. /etc/apache2/apache2.conf 의 파일을 열어  "/Directory" 의 명령어 입력후, 키워드를 찾아 이곳으로 이동하여, 다음과 같이 수정해준다. 

 

15. 다시 apache2를 재시동해준다.

 

16. 이제, 웹 브라우저로 이동하여 처음에 설정했던 주소를 적어주면, 입력한 내용이 뜬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