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백준 2638번
- JavaScript
- level1
- 알고리즘
- 1389번 케빈 베이컨의 6단계 법칙
- 알고리즘 수업-깊이 우선 탐색1
- 부녀회장이 될 테야
- level0
- 프로그래머스
- dfs
- 기지국 설치 자바스크립트
- 기지국 설치 js
- React
- 2275번
- 백준 1068번 트리
- 24480번
- Java
- Redux
- 1937번 욕심쟁이 판다
- 백준
- 자바스크립트
- 힙 자바스크립트
- 13023번 ABCDE
- 백준 1068
- 2638번 치즈
- 우선순위 큐 자바스크립트
- 1303번
- 백준 13023번
- ssh
- 리덕스
Archives
- Today
- Total
코딩왕랄프👊🏻
[Spring] 접근 제어자 본문
반응형
SMALL
1. 접근제어자(Access Modifier)란?
접근제어자란 변수, 메소드, 클래스 선언시 사용되며 해당 변수, 메소드, 클래스의 접근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접근제어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선언된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보호해주기 위한 것으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성인
캡슐화(Encapsulation)와 정보은닉을 구현하게 해준다.
접근제어자는 생략이 가능하며, 생략시 default를 뜻한다.
접근제어자의 종류는 default와 함께 3가지가 있다.
- 접근제어자
- public : 모든 접근이 가능, 제한이 가능
- private : 동일한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 가능
- protected : 동일 패키지에 속하는 클래스와 하위클래스 관계에서 접근 가능
- 접근 권한
Reference
반응형
LIST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Boot] Intellij에서 Querydsl 사용시 import 문제 (0) | 2023.01.10 |
---|---|
[Spring] 의존성 주입의 3가지 방식 (0) | 2022.03.20 |
[JPA] GeneratedValue (0) | 2022.03.17 |
[JPA] @Id 어노테이션 (0) | 2022.03.17 |
[JPA] @Builder 어노테이션 (0) | 2022.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