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Redux
- 1303번
- React
- 부녀회장이 될 테야
- 백준 13023번
- 백준
- ssh
- dfs
- 2275번
- 1937번 욕심쟁이 판다
- 백준 2638번
- 백준 1068
- 알고리즘
- 자바스크립트
- 백준 1068번 트리
- 리덕스
- 알고리즘 수업-깊이 우선 탐색1
- 2638번 치즈
- level0
- 프로그래머스
- 우선순위 큐 자바스크립트
- 13023번 ABCDE
- JavaScript
- 기지국 설치 js
- Java
- 24480번
- 힙 자바스크립트
- 1389번 케빈 베이컨의 6단계 법칙
- level1
- 기지국 설치 자바스크립트
Archives
- Today
- Total
코딩왕랄프👊🏻
[백준] 3187번 양치기 꿍 본문
반응형
SMALL
문제
양치기 꿍은 맨날 늑대가 나타났다고 마을 사람들을 속였지만 이젠 더이상 마을 사람들이 속지 않는다. 화가 난 꿍은 복수심에 불타 아예 늑대들을 양들이 있는 울타리안에 마구 집어넣어 양들을 잡아먹게 했다.
하지만 양들은 보통 양들이 아니다. 같은 울타리 영역 안의 양들의 숫자가 늑대의 숫자보다 더 많을 경우 늑대가 전부 잡아먹힌다. 물론 그 외의 경우는 양이 전부 잡아먹히겠지만 말이다.
꿍은 워낙 똑똑했기 때문에 이들의 결과는 이미 알고있다. 만약 빈 공간을 '.'(점)으로 나타내고 울타리를 '#', 늑대를 'v', 양을 'k'라고 나타낸다면 여러분은 몇 마리의 양과 늑대가 살아남을지 계산할 수 있겠는가?
단, 울타리로 막히지 않은 영역에는 양과 늑대가 없으며 양과 늑대는 대각선으로 이동할 수 없다.
입력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각각 영역의 세로와 가로의 길이를 나타내는 두 개의 정수 R, C (3 ≤ R, C ≤ 250)가 주어진다.
다음 각 R줄에는 C개의 문자가 주어지며 이들은 위에서 설명한 기호들이다.
출력
살아남게 되는 양과 늑대의 수를 각각 순서대로 출력한다.
const _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split("\n");
function solution(input) {
const [R, C] = input.shift().split(" ").map(Number);
const graph = input.map((item) => item.split(""));
const visited = Array.from({ length: R }, () => Array.from({ length: C }, () => 0));
const dy = [0, 0, 1, -1];
const dx = [1, -1, 0, 0];
let sheep, wolf;
let sheeps = 0,
wolves = 0;
for (let i = 0; i < R; i++) {
for (let j = 0; j < C; j++) {
if (graph[i][j] === "v" || graph[i][j] === "k") {
sheep = 0;
wolf = 0;
DFS(i, j);
if (wolf >= sheep) wolves += wolf;
else sheeps += sheep;
}
}
}
function DFS(y, x) {
if (!visited[y][x]) {
if (graph[y][x] === "k") sheep++;
else if (graph[y][x] === "v") wolf++;
}
visited[y][x] = 1;
for (let i = 0; i < dy.length; i++) {
const [ny, nx] = [y + dy[i], x + dx[i]];
if (ny >= 0 && ny < R && nx >= 0 && nx < C && !visited[ny][nx] && graph[ny][nx] !== "#") DFS(ny, nx);
}
}
return sheeps + " " + wolves;
}
console.log(solution(_input));
반응형
LIST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4479번 알고리즘 수업 - 깊이 우선 탐색1 (0) | 2023.07.28 |
---|---|
[백준] 3184번 양 (0) | 2023.07.26 |
[백준] 1189번 컴백홈 (0) | 2023.07.25 |
[백준] 2644번 촌수계산 (0) | 2023.07.25 |
[백준] 2798번 블랙잭 (0) | 2022.04.12 |